본문 바로가기
개발자로 가는 길(국비지원과정)/3.HTML,CSS,JavaScript, jQuery

[복습 Day17] Javascript 개요,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타입, 연산자, 백틱, 익명함수(이벤트와 연결, window.onload), innerHTML, 호이스팅(표현함수), 부트스트랩 사용방법

by 레아Leah 2022. 1. 24.
반응형

Javascript 개요

-HTML페이지에 Interactive한 작업을 하기 위해 탄생한 언어 

-웹에서 동작하도록 페이지 내에 포함된다. 

-인터프린팅하는 언어이다. 

-브라우저 엔진 

 

-자바스크립트의 위치

1)<HEAD></HEAD>사이에 <SCIPT></SCIPT>

2)너무 길경우 *.js 외부로 저장한 후 <scipt src="*.js></script> 따로 빼서 사용할 수 있다. 

3)태그 내에 이벤트와 함께 사용함. 

=>1,2번을 권장

 

※자바스크립트 주의사항※

-html, css, javascript를 따로따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js : 웹문서(html + css)가 로드가 끝난 후 실행시키는 것이 좋다. 

-<script>태그는 문서에 어디있어도 작동하지만 문서의 마지막이나 <head>위치에 둔 후 문서의 로드가 끝난 후 실행시키도록 함! 

 

 

<JS의 데이터 타입>

number(실수)

string : '', "", 백틱`(문자열의 interpolation을 사용할 수 있음. ex ${a}) 모두 문자열

boolean

undefined : 변수를 선언한 후 데이터 초기화를 하지 않았다는 뜻 

함수(function)

Object(배열[], 멥{})

Symbol

(데이터타입은 아니고 값인 null : 참조하고 있는 데이터가 없다. )

 

 

<데이터 선언시 사용하는>

-let : 많이 사용함. 

-var

-const : (final)변수를 상수화시켜서 값을 한번 초기화하면 두번 치환하지 못하도록 함. 

 

 

<연산자>

1) 산술연산자 : + - * / % ++ --

2) 비교연산자 
 let c =10;
       let d = 20;
       let e = "10";
       console.log(`c > d = ${c > d}`);
       console.log(`c== e = ${c == e}`); // ==는 자바의 unboxing기능(타입은 다르지만 값이 같아서 true)
       console.log(`c=== e = ${c === e}`);//타입이 달라서 false
       console.log(`true + false = ${true + false}`);
 
 
출력값 
c > d = false 
c== e = true
c=== e = false
true + false = 1
 
true의 값 1, false의 값 0
 
 
 
3)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 &&논리곱 ||논리합 !논리부정
 
console.log(`${17 <= age <= 19}`);
 
위의 코드는 17 <= age에서 true가 나오면 true의 값 1으로 변환되어 1<= 19이므로 true만 나오는 연산식이다. 
 
 
 
 
<파이썬과 js의 차이점>
"4" *5 
 
파이썬 출력값 : 44444
자바스크립트 출력값 : 20 
 
 
<삼항연산자>
let f = false;
console.log((f) ? "참":"거짓");
 
출력값 거짓
 
 
<할당연산자>
: LV=RV, +=, -=, *=, *=
 
 
<단항연산자>
: typeof, ., [] 
 
 
<innerHTML>
-시작과 끝태그 사이에 값을 넣는다. 
-끝태그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가능하다. 
-함수가 아니다.
 
window.onload = function(){ //익명함수
            let input;
            let btn = document.getElementById("btn"); //해당하는 아이디를 가진 요소를 불러오라는 뜻
            btn.onclick = function() {
               input =  document.getElementById("num").value; //value는 read도, write도 가능하다.
               if(parseInt(input)%2==0) {
                   document.getElementById("result").innerHTML="<b style='color:red;'>짝수입니다.</b>";
               }else{
                document.getElementById("result").innerHTML="<b style='color:red;'>홀수입니다.</b>";
               }
            }
        }
 
 
<body>
    <h2>조건문과 반복문</h2>
    <input type="text" id="num" placeholder="숫자를 입력">
    <input type="button" id="btn" value="클릭하시오.">
    <div id="result"></div>
</body>
 
 
 
<자바스크립트>
1) core문법 
2) DOM(document object) 
-document.getElementById()
속성 
innerHTML: r/w가 가능 =을 기준으로 왼쪽에 있으면 넣기? 오른쪽에 있으면 읽어오기
 let num1 = parseInt(document.getElementById("num1").value); //read
                 document.getElementById("result").value= result; // write
value 
3) BOM
 
 
<자바스크립트 함수>
프로그램 내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독립적인 코드 블럭
함수는 정의하고, 호출하여 실행한다.
함수는 연산시 필요한 데이터를 외부에서 전달받아 사용(파라미터), 그리고 그 결과는 리턴할 수 있다.표현함수, 선언함수 ==> 호이스팅의 차이가 있다.

 

선언적 함수

        function add(a, b) {
            return(a + b);
        }

        let c = add(10, 5);
        alert(c);
 
 
//표현함수 : 이름이 없어 변수 안에 넣어 사용!  
        let data = function(a,b){
            return a+b;
        };
       data(23, 56);
=> 하나의 데이터로 처리된 것이기 때문에 ;을 넣어줘야한다. 
 
 
호이스팅 
: 선언적 함수에 한해서, 사용하려는 시점에 함수가 아래에 있다면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기능 !
: 표현적 함수 등등 선언적 함수 이외의 것들은 없는 기능이다. 
 
 
 
<가져다 쓰면 됨!>
 
 
 

Buttons

Use Bootstrap’s custom button styles for actions in forms, dialogs, and more with support for multiple sizes, states, and more.

getbootstrap.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