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로 가는 길(국비지원과정)/4.Spring+ Ajax

[210804수] 댓글 디비 작업

by 레아Leah 2021. 8. 4.
반응형

[1교시]

두개 다 같은 화면이 나옴 

 

 

댓글 작업

 

기본 

더보기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댓글 연습</title>
<style>

</style>
<script src="resources/script/jquery-3.6.0.min.js"></script>
<script>
$(function(){

});

</script>
</head>
<body>
<h2>[ 메인글이 없는 댓글 연습 ]</h2>

</body>
</html>

 

 

디비 수정 

더보기

-- 2021년 7월 
DROP TABLE reply_test;
DROP SEQUENCE replytest_seq;

-- 댓글(Reply)
CREATE TABLE reply_test
(
replynum  number primary key,                      -- 댓글 번호
boardnum number default 0,                         -- 참조하는 본문글 번호
userid    varchar2(50)   not null,                     -- 댓글 작성자 아이디
replytext varchar2(1000) not null,                    -- 댓글 내용
regdate   date default sysdate                       -- 댓글 작성일
);

CREATE SEQUENCE replytest_seq;

 

첫화면에서 댓글 화면으로 넘어올 경우 댓글 박스는 비어있는 상태여야 한다. 

첫화면에서 접속하자마자 바로 디비에 접근해 가져와야한다. 

로그인을 한 상황이라면 수정/삭제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우리는 모든 사람이 되게끔 만들거임

수정을 원할 경우, 수정버튼을 눌렀을 경우 입력창 위에 뜨도록 할거임 

displaynone으로 해 안보이게끔 하고,

 

crud + selectoAll의 5가지의 쿼리가 필요하다. 

인터페이스 생성

 

 

[2교시]

 

root-context 

더보기

<!-- db.properties 읽어오기 -->
<bean
class="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onfig.PropertyPlaceholderConfigurer">
<property name="location">
<value>classpath:db.properties</value>
</property>
</bean>

<!-- db.properties의 설정 값을 읽어서 setting -->
<bean id="dataSource"
class="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property name="driverClassName" value="${driver}" />
<property name="url" value="${url}" />
<property name="username" value="${user}" />
<property name="password" value="${password}" />
</bean>

<!-- 트랙잭션 관리를 위한 빈설정 -->
<bean id="transactionManager"
class="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TransactionManager">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 />
</bean>

<!-- sqlSessionTemplete -->
<bean id="sqlSessionFactory"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FactoryBean">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 />
<property name="configLocation" value="classpath:mybatis-config.xml" />
</bean>

<!-- sqlSession -->
<bean id="sqlSession"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Template">
<constructor-arg index="0" name="sqlSessionFactory"
ref="sqlSessionFactory" />
</bean>

기본 설정 완료 

 

<input type="button" id="update" value="댓글 수정">

댓글 수정버튼은 처음에 안보임, 출력공간에서 특정 글을 수정하고 싶을 때 버튼이 생겨남!

 

 

 

init() 함수 

: 데이터부터 긁어오는 작업, 전체 데이터 초기화하는 작업 

 

성공하면 output 함수 실행! 

 

레파지토리는 세션을 이용해 디비 접속

 

예외가 발생하면 null값을 받아옴 

 

자바라면 if (true or false)가 와야하지만 에이젝스에서는 가능하다. 

노란 색으로 체크된 부분도 boolean 값인 true false으로 사용 가능하다. 

true, false 역할을 하는 값 : null, undefind, 0, 1 , [], {}

 

 

[3교시]

true, false 역할을 하는 값 : null(f), undefined(f), 0(f), 1(t), [](t), {}(t)

[](t), {}(t)는 데이터가 있든 없든 true가 나오기 때믄에 이 경우엔 length로 해서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정리

// false 역할을 하는 값 : null(f), undefined(f), 0(f), false, ""

// true 역할을 하는 값: true, 1(t), [](t), {}(t)

 

 

댓글은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id가 아닌 class가 와야 한다. 

 

 

내가 저장하고 나면 전체를 다 불러오는 작업이 필요하다. 

 

 

 

내일 수업 삭제랑 수정

반응형

'개발자로 가는 길(국비지원과정) > 4.Spring+ Aj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805] 댓글 수정, 삭제  (0) 2021.08.05
@RequestBody와 @ResponseBody 차이  (0) 2021.08.04
[제이쿼리A반] 0726 복습  (0) 2021.08.03
[210803화] 제이엑스  (0) 2021.08.03
[210730금]  (0) 2021.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