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내용은 item 안에 들어있음
result += ' <input type="button" class="" value="삭제">' 버튼을 누르게 되면 디비에서도 삭제가 되어야 한다.
pk를 알고 있어야만 디비에서도 삭제할 수 있다.
$("#replyTarget").html(result);는 화면에 넣는 작업
동적으로 만들어진 버튼은 html을 사용해 화면에 뿌려지자마자 막 바로
$(".delbtn").on('click', deleteReply);해줘야 동적으로 생긴 버튼도 사용할 수 있다.
디자인 수정
deleteReply 함수 생성
삭제와 수정이라는 얼럿이 뜨는지 확인
data-는 html5의 규약: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만든 속성
data-num="'+ item.replynum +'"
[2교시]
댓글을 삭제하기 위해 "replynum"를 변수 delno에 넣고,
"replynum" : delno를 컨트롤러에 넘기는 것임
업데이트 쿼리문까지 온김에 미리 만들어두기
업데이트 쿼리문
success or fail 중
resp 전달인자로 받는다.
삭제가 되는지 확인하기!
html은 기존에 있는 데이터를 다 엎어버림
append는 겹쳐짐,, 이렇게 하면 화면에 계속 남아져 있음
[3교시]
단계 1
- 수정버튼을 누르면 replynum을 읽어온다 - ajax로 selcetOne으로 DB 가져온다.
- 가져온 데이터를 분석해서 val()을 이용해서 userid, replytext위치에 출력
단계 2
- #insert는 숨기고 $("#insert").css("display", "none"); - #update는 나타나게 $("#update").css("display", "inline");
단계 3
- 수정버튼에 이벤트를 걸고, 새로운 함수 호출하도록 replyProcess()를 이용해서 데이터 수집
- 이 이후 알아서~~
댓글 수정하려면 replynum과 replytext
'개발자로 가는 길(국비지원과정) > 4.Spring+ Aj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습 Day22] 인텔리제이, 오라클 연동 (0) | 2022.02.03 |
---|---|
[210806금] Board_Ajax (0) | 2021.08.06 |
@RequestBody와 @ResponseBody 차이 (0) | 2021.08.04 |
[210804수] 댓글 디비 작업 (0) | 2021.08.04 |
[제이쿼리A반] 0726 복습 (0) | 2021.08.03 |